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남해선 목포 임성리 보성 철도 노선도 정차역 기대와 우려는?
    도시 개발 계획 2025. 2. 25. 16:36
    반응형

     오늘은 전라남도 남해안의 중요한 교통망이 될 남해선 철도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이 노선은 목포에서 보성까지 이어지는 82.5㎞ 구간의 단선 전철화 사업으로, 

    시속 200km급 준고속선으로 설계되어 큰 기대를 모은 사업입니다. 

     

    이 구간이 개통되면 전라남도의 교통망과 경제에 미칠 영향이 클 것입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한 사항도 있습니다.

     

    1. 남해선 철도의 기대효과

    먼저, 가장 큰 기대효과는 이동 시간 단축입니다. 기존에 목포에서 보성까지는 2시간 16분이 걸렸지만, 남해선 철도 개통 후에는 1시간 3분으로 73분 단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처럼 교통 시간 단축은 지역 주민들에게 더 빠르고 편리한 이동 수단을 제공하며, 

    경제활동 활성화에 기여할 것입니다. 특히 영암, 해남, 강진, 장흥, 장동역 등 새로운 철도역이 신설되며, 

    이 지역들의 교통 접근성이 향상될 것입니다.

     



    또한, 관광 자원 개발 측면에서도 큰 기대가 있습니다. 

    남해선이 지나가는 지역들은 다산서원, 땅끝마을, 보성다원, 월출산 등 유명한 관광 명소들이 많습니다. 이로 인해 관광객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2. 남해선 철도의 제한 사항

    그러나 철도망 구축에도 제한 사항이 존재합니다. 첫 번째로, 남해선 철도는 단선 전철화로 설계되어, 기존의 보성-순천 구간과 연결되지 않아서 전철화가 되지 않은 비전철 구간에서 속도 제약이 있습니다. 특히, 보성에서 순천까지는 재래선이 그대로 운영되며, 이 구간은 전철화가 완료되지 않아 운행 속도와 효율성에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구간의 전철화 사업은 2030년경에나 개통될 예정이므로, 당분간 남해선 철도의 효율성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또한, 호남선과의 연결 문제도 존재합니다. 남해선 철도는 목포-임성리 구간에서 연결되지만, 광주송정역과의 직접 연결선이 없기 때문에 환승이 필요합니다. 이로 인해 수도권이나 타 지역에서 목포로 이동하는 승객들이 환승 불편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의 중부내륙선이나 서해선의 사례처럼 철도 연계성 부족으로 인해 초기에는 이용 수요가 예상보다 적을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합니다.

     

    3. 지역 간 교통망 활성화와 개선 필요성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지역 주민과 관광객의 수요를 창출하려면, 역 접근성 향상과 대중교통 개편이 필수적입니다. 지역 교통망이 철도와 잘 연계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관광 자원 발굴 및 홍보가 중요한 과제입니다. 또한, 무인역 운영과 같은 첨단 기술을 도입해 승객 안전을 확보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4. 철도 운영의 한계와 대안

    또한,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무궁화호를 하루 8회 운행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하지만 개통 초기에는 수요 부족으로 인해 일부 노선은 운영되지 않거나 적자 운영이 예상될 수 있습니다. 특히 KTX-이음 같은 전기열차는 보성-순천 구간에서 운행할 수 없기 때문에, 디젤 기관차가 필요한 구간도 존재합니다.

     



    결론

    남해선 철도의 개통은 전라남도 남해안 지역의 교통 편의성과 경제적 기회를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철도 연계성 부족과 비전철 구간의 한계 등 여러 제한 사항도 존재합니다. 향후 경전선 선로 개량과 같은 추가적인 고속화 철도 사업이 완료되면 남해선의 완전한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제 남해선 철도가 개통되면, 전라남도의 철도망이 부산, 광주, 서울과 연결되는 중요한 국토 대동맥의 일부가 될 것입니다. 다만, 초기 운행과 연계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자체의 적극적인 노력과 철도 운영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