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개발 계획
-
SRT 전라선 동해선 경전선 포항 창원 여수 노선 확대 개통도시 개발 계획 2023. 4. 5. 15:35
드디어 수서에서 SRT를 타고 창원과 여수, 포항을 오갈 수 있게 됐습니다. 국토교통부가 SRT 운행 노선을 기존 경부선과 호남선이 이어 노선을 전라선과 경전선, 동해선까지 운영을 확정했기 때문입니다. 이들 노선의 운영 일정은 2023년 9월부터입니다. SRT 수혜 지역은 창원과 진주, 여수, 포항 일대입니다. 현재 수서발 SRT는 앞서 말했듯이 경부선과 호남선에만 운행중입니다. 서울 강남 또는 경기 동남부 지역으로 가려면 동대구역 등에서 SRT로 갈아타거나 광명역 또는 서울역에서 내려 지하철과 버스로 한 시간 더 이동해야 하는 불편을 겪었습니다. 이번 노선 확대로 그동안 SRT를 이용하지 못했던 무려 380여만명의 남부지역 주민들은 열차 환승에 따른 불편과 이동시간 등을 절감할 수 있게 됐습니다. 하지..
-
인천 지하철 3호선 노선도 순환선 개통 노선도시 개발 계획 2023. 4. 4. 17:49
인천 도심을 순환하는 인천 3호선 노선 계획 알아봅니다. 인천지하철 3호선은 인천지역을 크게 순환합니다. 총 연장 59km에 35개 역사가 조성될 인천지하철 3호선은 시비 1조9236억원 등 4조8090억원이 투입될 예정입니다. 현재까지 계획된 세부 노선을 보면 인천대공원역과 인천논현역을 지나 송도 테크노파크역, 동인천역은 물론 인천 서구에 있는 아시아드경기장과 삼산체육관을 지나 다시인천대공원역까지 연결됩니다. 그동안 철도망이 연결되지 않았던 인천 외곽지역의 수혜가 기대됩니다. 특히, 인천지하철 3호선은 인천에 지나는 사실과 모든 철도망과 환승체계를 구축하는 노선입니다. 인천지하철 3호선은 환승 노선을 보면 서울을 오가는 경인전철은 물론 기존 인천지하철 1호선과 2호선, 수인선과 서울지하철 7호선과도 연..
-
영종도~신도 연도교 신시모도~강화도 연결 모도~장봉도 다리 건설도시 개발 계획 2023. 3. 29. 20:27
앞으로 땅과 새롭게 연결된 섬 빠르게 알아봅니다. 먼저 영종도와 신도가 연도교로 연결됩니다. 영종 신도 연도교는 인천국제공항이 위치한 인천광역시 중구 영종도와 옹진군 북도면 신도를 연결하는 다리입니다. 이 다리는 이미 착공에 들어갔습니다. 2021년에 착공한 이 다리는 2025년 완공을 목표로 총 1,251억원을 들여 영종도부터 신도까지 3.5km 구간에 2차로 교량과 접속도로를 건설할 예정입니다. 영종도에서 차를 타고 신도를 건너갈 수 있는데 이미 신도와 시도, 모도는 하나의 다리로 연결돼 있어서 하나의 다리가 육지와 연결되면 3개의 섬을 한 번에 이동할 수 있게 됩니다. 두번째는 신시모도에서 강화도로 연결되는 연도교 건설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이 다리는 옹진군 신도와 강화군 남부지역을 연결하는 11...
-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노선도도시 개발 계획 2023. 3. 28. 13:28
서울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노선 빠르게 알아봅니다. 동부간선도로는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에서 송파구 장지동을 연결하는 길이 33km 노선입니다. 이 가운데 지하화가 추진되는 구간은 월릉교에서 대치동 12.2km와 월계에서 송정까지 11.5km 킬로미터에 달합니다. 사업은 모두 2단계로 나눠 추진됩니다. 먼저 1단계 사업 중 민자사업 구간은 중랑천과 한강 하저를 통과하는 연장 10.1킬로미터 왕복 4차로 승용차 전용 지하도로입니다. 지하화 구간을 통해 기존 동부간선도로 월릉IC와 군자IC를 이용해 진입과 출입할 수 있게 하고 영동대로에 삼성IC, 도산대로에 청담IC가 각각 신설돼 이용 편의를 높입니다. 월릉 IC에서는 곧장 강남으로 연결합니다. 글로벌 마이스 거점으로 조성될 코엑스와잠실운동장 일대인 삼성 ..
-
제2공항철도 노선 제4연륙교 인천 개통 노선도도시 개발 계획 2023. 3. 26. 16:11
인천공항을 이어줄 제2공항철도 건설이 더나아가 제4연륙교 건설을 위한 해법이 될 수 있을까요? 복잡한 이야기 같지만 구상은 간단합니다. 현재 공항철도는 영종대교를 이용해 지나다닙니다. 총 연장 4.4km에 달하는 영종대교는 도로와 철도가 동시에 통과하고, 교량 아래로는 1만톤급의 선박이 통행할 수 있는 3차원 다리입니다. 제2공항철도 역시 영종대교처럼 철도와 차량이 동시에 다니는 방식으로 건설된다면 이미 운영중인 영종대교와 인천대교, 그리고 현재 건설중인 제3연륙교에 이어 제4연륙교까지 한번에 만들어 지는 셈입니다. 먼저 제2공항철도 계획 노선부터 알아봅니다. 제2공항철도는 인천국제공항과 영종하늘도시, 수인분당선 숭의역을 지하로 연결하는 16㎞ 정도의 노선으로 검토되고 있습니다. 제2공항철도 노선이 연결..
-
용인플랫폼시티 GTX-A 용인역 분당선 경부고속도로 복합 환승도시 개발 계획 2023. 3. 23. 15:12
용인플랫폼시티는 어디일까요? 용인시 기흥구 보정동과 마북동, 신갈동 일대에 조성되는 자족도시입니다. 신도시가 아닌 자족도시로 분류되어, 청약 예정물량은 1만세대 규모로 작은 편에 속하지만 계획 인구가 적을 뿐이지 주변은 이미 아파트로 둘러쌓인 상황이라 전체 권역의 인구는 적다고 보기 힘듭니다. 용인플랫폼시티는 앞으로 교통망이 획기적으로 늘어납니다. 2024년 개통 예정인 GTX A노선의 용인역을 연결할 예정이며, 경부고속도로 상부에 복합환승센터가 건립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교통 인프라를 갖추며 대규모 거주단지를 배후에 갖춘 자급 도시의 모습을 갖춰나간다는 계획입니다. 플랫폼시티는 GTX a노선 정차역은 물론 지하철과 고속도로가 교차하는 수도권 남부교통 요충지가 될 전망입니다. 이세가지 교통편을 한번에..
-
경부고속도로 지하화 동탄 직선화 지하터널 서울방향 개통 노선도도시 개발 계획 2023. 3. 22. 13:27
경부도속도로 동탄 지하터널이 3월 24일 뚫립니다. 경기도 화성 동탄신도시를 가로지르는 경부고속도로의 직선화 사업이 마무리됐습니다. 경부고속도로 동탄 지하화 구간은 경부고속도로 기흥나들목에서 동탄 분기점 4.7킬로미터 구간을 곧게 펴는 작업입니다. 공사가 완료되며서 이중에 1.2km 구간이 지하화됐습니다. 직선으로 편 고속도로 아래에는 GTX와 SRT 노선이 지나고 복합환승센터도 들어섭니다. 지하 구간엔 화재나 대기오염물질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최첨단 안전 설계가 반영됐습니다. 경부고속도로를 중심으로 1,2 신도시가 나뉘어진 불편도 사라집니다. 고속도로 지상부에도 동탄 1, 2신도시를 동서로 연결하는 6개의 길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화성시는 이와 함께 고속도로 지상 9만 제곱미터를 동탄역과 연결된 도심의..
-
경기도에 생길 6개 철도망 노선도 8호선 별내선 연장 7호선 연장 도봉산옥정선 옥정~포천 광역철도 고양은평선 강동하남남양주선 송파하남선도시 개발 계획 2023. 3. 22. 10:56
앞으로 경기도에 생길 핵심 철도망 6곳 노선 빠르게 알아봅니다. 먼저 8호선 별내선 연장 노선입니다. 8호선 별내선 연장 노선은 서울 암사와 남양주시 별내를 연결하는 총길이 12.8킬로미터 구간입니다. 경의중앙선과 경춘선은 물론 GTX B노선으로 환승 가능한 구리역과 별내역 등 6개 역이 설치될 예정입니다. 늦어졌지만 어찌됐든 2024년 상반기 개통되면 남양주 별내 신도시와 다산 신도시 주민들이 강남으로 이동하는데 상당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노선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별내역에서 노선이 끝나는 것이 아니고, 더 북쪽으로 연결해서 별내중앙역과 별내별가람역에서 4호선 환승까지 연장되면 진접이나 앞으로 개발되는 왕숙신도시의 주민들도 잠실이나 강남쪽으로 이동하는데 상당히 편리해질 것으로 예상됩..